역사/4. 조선시대

조선 중기 정치사 - 사림과 훈구의 대립

역사와문학 2025. 3. 7.
728x90
반응형
조선 중기 정치사 - 사림과 훈구의 대립

조선 중기 정치사 - 사림과 훈구의 대립

조선 중기(15세기 후반~16세기)는 정치적 변동이 심했던 시기입니다. 특히 사림(士林)과 훈구(勳舊) 세력 간의 갈등은 조선 정치사의 핵심적인 흐름을 형성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사림과 훈구의 차이, 대립의 원인, 그리고 그 결과를 알아보겠습니다.

사림과 훈구란?

조선 초기의 공신들과 중앙 권력을 장악한 훈구파, 그리고 지방에서 성장하며 성리학적 이상 정치를 꿈꾼 사림파가 조선 중기 정치의 두 축이었습니다.

구분 훈구파 사림파
출신 배경 조선 개국 공신, 세조 집권기 중앙 관료 향촌 출신, 성리학적 소양을 갖춘 유학자
정치 성향 왕권 강화, 현실주의적 정책 도덕 정치 강조, 왕도 정치 지향
경제 정책 대규모 토지 소유, 상업 활동 인정 소농 경제 지향, 상업 억제
대표 인물 한명회, 신숙주, 정인지 김종직, 조광조, 이황

사림과 훈구의 대립

훈구 세력은 조선 개국 이후 정치와 경제를 주도했지만, 성리학적 이상을 중시하는 사림이 성장하면서 점차 갈등이 심화되었습니다.

1. 사림의 중앙 정치 진출

세조 이후 성종(1469~1494) 대에 이르러 사림이 중앙 정치에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성종은 사림을 등용하여 훈구 세력의 권력 독점을 견제하고자 했으며, 이 과정에서 김종직을 비롯한 사림이 주요 관직을 차지했습니다.

2. 사화(士禍)의 발생

훈구와 사림의 갈등은 여러 차례의 사화(士禍, 유학자 숙청 사건)로 폭발했습니다.

  • 무오사화(1498년):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문제가 되어 훈구파가 사림을 숙청
  • 갑자사화(1504년): 연산군이 자신의 어머니 폐비 윤씨 사건을 문제 삼아 사림과 훈구를 모두 탄압
  • 기묘사화(1519년): 조광조가 개혁을 추진하다가 훈구 세력의 반발로 숙청
  • 을사사화(1545년): 명종 즉위 후 외척 간 권력 다툼으로 사림이 타격

3. 사림의 승리와 붕당 정치의 시작

사림은 명종과 선조 대에 이르러 점차 정권을 장악하게 됩니다. 이후 사림이 권력을 독점하면서 내부 분열이 발생했고, 이는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는 붕당 정치로 이어졌습니다.

사림과 훈구의 대립이 미친 영향

이러한 대립과 사화의 결과, 조선 정치에는 다음과 같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 훈구 세력의 약화와 사림 세력의 정치 장악
  • 성리학 중심의 정치 이념 확립
  • 붕당 정치의 시작 (동인 vs. 서인)
  • 경직된 성리학적 사회로 변화

마무리

조선 중기의 훈구와 사림의 대립은 단순한 정치 싸움이 아니라, 조선 사회의 구조와 이념을 결정짓는 중요한 과정이었습니다. 결국 사림이 승리했지만, 붕당 정치로 이어지면서 또 다른 정치적 갈등이 지속되었습니다. 이러한 흐름을 이해하는 것은 조선 시대 전반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조선중기 #사림과훈구 #조선정치사 #성리학 #사화 #붕당정치 #훈구파 #사림파 #조광조 #김종직

728x90
반응형

댓글